본문 바로가기
정책지원 세테크/정부지원 & 정책

청년도약계좌 신청기간 신청방법

by 포에버위드 2023. 10. 11.
반응형

청년도약계좌 신청기간 신청방법  ( 청년도약계좌 은행별 우대 금리 비교 )

 

 

 

요즘 같은 금리에 은행 예적금 이자가 높아졌다고 하더라도 사회 초년생인 청년들이 월급을 모아서 목돈을 만든다는 것은 예전이나 지금이나 쉬운 일은 아닙니다. 30대 초반 직장인도 생활비, 대출비 등을 빼면 1년에 1000만원을 모으는 게 쉽지 않은 요즘입니다. 이런 청년층을 위하여 정부에서 야심 차게 내놓은 적금 상품인 청년도약계좌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목차

     

     

     

    1. 청년도약계좌
    (일종의 목돈 만들기 통장)

     

     

    청년도약계좌는 매 월 최대 70만원 한도 내에서 납입금을 불입하는 정기적금입니다. 시중은행의 일반적금과의 차이는 급여 수준에 따라 일정금액 (월 21,000원 ~ 24,000원까지)을 정부가 지원하고 이자소득세 15.5%가 비과세 혜택을 볼 수 있다는 점입니다.

     

    기본 금리는 5대 시중은행 기준 4.5% 우대 조건을 만족할 경우 1.5%가 더해져 최대 연 6%의 이자를 받을 수 있습니다. 여기서 이자는 모두 비과세 적용을 받게 됩니다.

     

    청년도약계좌는 청년의 중장기 자산형성을 도모하기 위해 2023년 6월부터 시행되는 제도입니다. 청년도약계좌 신청은 매월 초부터 2주간 신청받고 약 3주간의 심사를 거쳐 다음 달에 계좌개설과 저축 납입이 시작됩니다.

     

     

     

    2. 10월 신청기간

     

     

    긴 연휴가 끝나고 2023년 10월 4일부터 10월 17일까지 영업일 기준 9일 동안 신청받게 됩니다. 이후 10월 31일까지 심사기간을 거쳐 11월 17일까지는 계좌를 개설하고 저축액을 납입합니다.

     

    • 신청 기간 : 2023. 10. 4. (수)  ~ 10. 17. (화)
    • 심사 기간 : 2023. 10. 18. (수) ~ 10. 31. (화)
    • 계좌개설 기간 : 2023. 11. 1. (수) ~ 11. 17. (금)

     

     

    3. 신청방법

     

     

    시중 은행의 금리를 비교해서 직접 개별 은행으로 신청해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정부 지원 상품의 경우 각종 정책 사이트에서 신청하는 게 일반적이지만 청년도약계좌 신청방법은 반드시 개별 은행에서 직접 신청해야 합니다. 네이버에서 청년도약계좌만 검색하면 1 금융권을 포함하여 전체 11개 은행의 전체 상품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가입은 비대면 방식으로 11개 은행 앱을 이용해서 가입이 가능합니다.

     

     

     

    4. 청년도약계좌 조건

     

     

    청년도약계좌는 나이, 개인 소득, 가구 소득  3가지 항목 별 조건을 만족해야 합니다.

    (+ 청년희망적금과 중복으로 가입이 안됩니다.)

     

     

     

     

    청년도약계좌 개인소득 가입 조건

    연봉 7,500만원 이하까지만 가입이 가능합니다. 일단 연봉이 6,000만원을 넘기게 되면 정부 기여금을 받을 수 있는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만약 6,000만원 이상의 연봉을 받고 있는 청년이라면 정부기여금 대신 고금리와 비과세 혜택에 중점을 두고 적금을 해야 합니다. 시중은행에서 예적금을 하는 경우 만기 시 15.4% 소득세가 부과됩니다. 청년도약계좌의 경우 전면 비과세 혜택을 해주기 때문에 기여금을 못 받는다고 패스하면 큰 손해입니다.  

     

     

     

    청년도약계좌 개인소득 가입 조건

    2022년 소득기준 가구 중위소득이 180% 이내에 포함되어야 합니다.

     

    가구원수가 2인이라면 기준중위소독 180%인 704만원, 가구원수가 3인이라면 기준중위소득 180%인 906만원 정도에 해당합니다. 이때, 개인 소득을 합칠 때는 함께 거주하는 부모님의 소득까지도 합산되어 계산되니 이점은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5. 저소득층 우대금리

     

     

    최고금리 6% + 비과세 혜택은 시중 은행 적금 금리로 보면 아주 파격적인 조건이라고 할 수 있지만 이 금리를 실제로 받는 건 온전히 나의 몫입니다. 4.5% 기본 금리 외에 1.5% 우대금리를 받고자 한다면 은행 별로 요구하는 우대 조건을 맞춰야 하기 때문에 굉장히 까다롭습니다.

     

    우선 모든 은행이 0.5%씩 제공해주고 있는 청년도약계좌 저소득층 우대금리의 경우 연 소득이 2,400만원 이하 또는 자영업자의 경우 연간 종합소득이 1,600만원 이하여야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여기서 잠깐, 가입 이후 연 소득이 늘어나면 그만큼 우대금리 혜택이 줄어든다는 것을 잊으면 안 됩니다. 연 소득이 2,400만원이라면 월 실수령액이 180만원 정도라는 건데 사회 초년생이 여기서 70만원을 몇 년간 저축한다는 것은 큰 용기이자 도전이 아닐까 싶습니다. 

     

     

    6. 은행 우대금리

     

    청년도약계좌 은행별 우대 금리

     

     

    대부분의 은행은 50만원 이상 급여이체와 직전 1년간 해당은행 예적금 미보유, 마케팅 동의 조건으로 우대금리 최대 1%를 지원해주고 있습니다. 현재 시중 정기 적금 금리가 평균 3.59% 정도인 걸 감안하면 우대금리를 적용받지 못한다면 다른 적금과 비교해 봤을 때 비과세가 정말 큰 매력인 걸로 봐야겠습니다.

     

    아래의 은행별 우대금리 세부 항목 비교표를 살펴보고 본인에게 맞는 항목을 선택하면 됩니다.

     

     

    청년도약계좌 우대금리 세부항목 비교표

     

     

    지금까지 청년도약계좌의 10월 신청기간, 신청방법, 가입조건, 은행별 금리와 우대금리 세부항목에 대해서 살펴보았습니다. 세대를 아울러 경기가 침체되어 안 좋다 보니 70만원에 비과세와 정부 기여금 혜택, 고금리 상품인 것을 생각해 보면 또 가입을 하지 않을 수가 없습니다.

     

    5년, 60개월을 꾸준히 적금해야 하는 상품이기 때문에 신중할 수밖에 없습니다. 5년의 저축기간 동안 첫 3년은 고정금리, 나머지 2년은 변동금리가 적용됩니다. 그렇기에 저소득층 우대금리 0.5%는 제외하고 금리를 계산하는 게 정신건강에 이로워보입니다. 우대금리 0.5% 받자고 기준 소득을 2,400만원 이하로 5년간 살 수 없잖아요.

     

    고금리 상품이지만 금리우대를 받지 못하면 빛 좋은 개살구라고 느껴질 수 있습니다. 그래도 야무지게 잘 활용하면 5년 동안 5,000만원은 모을 수 있으니 관심 있는 청년들에게 도움이 되는 정보였길 바랍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