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책지원 세테크/절세 & 세금

아파트 지역난방 온도조절기 열량계 절약 방법 꿀팁

by 포에버위드 2023. 12. 26.
반응형

 

목차

     

    겨울에 이르렀다는 동지(冬至)가 지나고 강추위가 시작되었습니다. 이에 난방비를 걱정하는 세대가 늘고 있습니다.

     

    작년 1월 주택용 난방비가 작년 12월 주택용 난방비가 1 Mcal(메가칼로리, 열량 단위) 당 65.23원에서 89.88원으로 1년 전에 비해 37.8% 증가했고, 올해 역시 난방비가 101.57원까지 오르며 전년 대비 13%의 난방비 요금이 상승했습니다.

    특히 작년 말 러우 여파로 도시가스의 원료인 액화천연가스(LNG) 가격이 인상되는 등 한동안 글로벌 에너지 부분의 인플레이션이 계속될 전망입니다.

     

    한파 속 에너지 소비를 줄여 난방비를 조금이라도 절약할 수 있는 방법이 절실한 요즘입니다.

    오늘은 아파트 지역난방 온도조절기 열량계 절약 방법과 겨울철 난방비 절약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지역난방 온도조절기 열량계 절약 방법
    지역난방 온도조절기 열량계 절약 방법

     

     

     

    우리 집 보일러 난방 방식 확인하기

    보일러 난방 방식은 개별난방, 지역난방, 중앙난방 등 크게 3가지로 나뉩니다. 이때 어떤 보일러 방식을 사용하느냐에 따라 난방비 절약 방법이 조금씩 달라집니다.

     

    국가 통계포털(KOSIS)의 2023년 4월 자료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보일러 방식은 개별난방이 52%, 지역난방이 23.5%, 중앙난방이 15.4%를 차지합니다. 오늘은 국내 보급률이 높은 지역난방을 중심으로 난방비 절약 방법을 살펴보겠습니다.

     

    🌡️ 개별난방

    개별난방은 각 세대에 보일러를 개별 설치하여 난방을 공급하는 시스템입니다. 주로 LNG 도시가스를 연료로 사용하며 일반적으로 가장 널리 쓰이는 난방 방식입니다.

     

    🌡️ 지역난방

    지역난방은 아파트 등에 개별 열 생산시설을 설치하지 않고, 열병합발전소 등 대규모 열 공급 시설에서 생산한 약 100℃의 중온수를 도로나 하천 등에 묻힌 보온관을 통해 건물의 기계실로 공급하는 난방 시스템입니다. 발전소의 배열로 급탕 하기 때문에 에너지당 발생하는 이산화탄소가 적고, 발전소의 근거리 지역에 안정적으로 열에너지를 전달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 중앙난방

    중앙난방은 건물별로 설치된 중앙기계실에서 보일러를 가동해 전체 세대로 열에너지를 일괄 공급하는 난방 시스템입니다. 지역난방이 보급되기 전에 많이 사용했던 난방 방식으로 주로 1990년대 중반까지 지어진 구축 아파트 단지에서 찾아볼 수 있습니다.

     

     

    지역난방 열량계 절약 방법
    한국지역난방공사 지역난방

     

     

    지역 난방비 폭탄 요금

    지역난방 요금 인상으로 이슈가 되고 있습니다. 겨울철이 되면 항상 난방비 부담으로 가계 운용을 힘들게 합니다.

    혼자 살 때는 도시가스보일러를 사용해서 집에 있는 시간에만 보일러를 가동해서 고온으로 방바닥을 급속도로 데우고 온수를 사용했었는데 지역난방도 그렇게 사용하는 줄로만 알고 온도를 엄청 올리고 사용했는데 방바닥은 뜨거워 지지도 않고 실내 온도도 빠르게 그리고 많이 올라가지도 않았습니다. 시간이 흐르면 되겠지 하는 생각으로 계속 그렇게 사용했다가 요금 폭탄을 맞게 됩니다.

     

    아무 생각 없이 썼다가 난방비 폭탄을 맞을 수 있으니 지역난방에 대한 정보를 얻어 현명하게 겨울철 아파트 난방비 절약 방법을 터득해야 합니다.

     

     

     

    아파트 난방비 절약 방법

    혹한기 난방비 폭탄 요금을 받지 않도록 아래 포스팅도 읽어보시고 아파트 난방비 절약 방법을 미리 숙지하시길 바랍니다.

     

     

     

     

     

    지역 난방 열량계 절약 방법
    한국지역난방공사 지역난방절약방법

     

     

     

     

    지역난방 열량계 절약법

    1. 원하는 온도까지 0.5~1.0도 올리면서 온도를 체크합니다.

    2. 체크하면서 집에 맞는 적정 온도를 찾습니다.

    지역난방은 개인 보일러처럼 방바닥을 구들장처럼 데우는 게 쉽지 않습니다. 그랬다가는 난방비 폭탄을 맞게 됩니다. 적정 온도의 온수만 공급이 되기 때문에 뜨거워질 수 없습니다. 뜨겁게 해 보겠다고 실내 온도보다 설정 온도를 계속 올리면 식지도 않은 온수가 또 빠져나가면서 사용량만 올리는 격이 되어 버립니다.

    따라서, 지역난방의 경우 각 방마다 있는 월패드 또는 온도조절기를 0.5~1.0도씩 올리면서 집에 맞는 적정온도를 찾아야 합니다.

     

    3. 적정 온도에 도달을 못하면 단열에 신경 써야 합니다.

    4. 단기간 외출 시에는 설정온도를 보통 1~3도 정도 조금 낮춰줍니다.

    5. 장기간 외출 시에는 설정온도를 보통 외출 또는 18도(집안 최저 온도 고려) 정도 조금 더 낮춰줍니다.

     

    6. 사용하지 않는 쓰는 방, 화장실, 베란다 등 외기 차단을 위하여 문을 항상 닫아줍니다.

    7. 난방이 가동될 때 바닥이 따뜻한 느낌이 없으면 분배기에 에어가 찼을 수 있습니다. 관리실에 연락하여 점검 및 공기 빼는 작업을 요청합니다.

    8. 열량계를 체크하면서 요금을 계산해 보면서 사용합니다.

     

     

     

    지역난방 열량계 절약 방법난방비 절약방법외출 난방비 절약방법

     

     

     

    💡 아파트 지역난방 온도조절기 주의점

    ◾ 실내 온도 미지근하다고 온도 한 번에 확 올리지 않기

    ◾ 현재온도, 희망온도 확인 후 0.5~1도씩 천천히 올리기

    ◾ 전원 끄지 않기(재가동 시 많은 에너지 소비)

     

     

    💡 지역난방 난방비 절약방법

    ◾ 단열용품(커튼, 러그, 담요, 에어캡, 문풍지) 활용하기

    ◾ 수도꼭지 항상 냉수 쪽으로 해놓기

    ◾ 집에서 수면양말, 수면 잠옷 등 두툼하고 따뜻하면서도 편안한 옷 입기

    ◾ 사용한 전력량 확인할 수 있는 보조 난방기 사용하기

    ◾ 0.5~1도씩 천천히 올리면서 실내 적정온도 유지하기

    ◾ 실내 습도 40~60% 유지를 위해 가습기, 천연 가습용품 등을 적절하게 사용하기

     

     

     

    지역난방 난방비 계산

    한국지역난방공사 홈페이지에 게시된 열요금표를 통하여 지역난방 난방비 계산을 미리 해볼 수 있습니다.

     

    아파트 지역난방비 계산법
    한국지역난방공사 열요금표

     

     

     

     

     

     

     

    마무리 글

    11월부터 2월까지 본격적인 추위와 겨울 동안 난방비 폭탄을 예방하기 위해 아파트 지역난방 절약방법과 지역난방 온도조절기 열량계 절약 방법, 아파트 지역난방 온도조절기 주의점, 지역난방 난방비 계산 등 난방비 절약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개인적으로 개별난방만 사용하다 지역난방을 사용하고 처음엔 많이 춥다고 느꼈습니다. 이제 몇 년 정도 맞춰놓은 온도로 계속 살다 보니 몸도 어느새 적정온도로 맞춰져서 이제는 춥다는 생각도 잘 안 드네요. 겨울철 난방비 폭탄 대비해서 따뜻한 겨울나기가 되시길 바랍니다.

     

     

    함께 보면 도움 되는 글

    겨울철 난방비 절약 방법 꿀팁 7가지

    겨울철 난방비 절약 방법 꿀팁 7가지

    목차 추운 날씨를 버티지 못하고 보일러 가동을 시작했습니다. 작년부터 가스요금 인상으로 인해 난방비 폭탄 관련 기사가 쏟아지면서 예상은 했지만 생각보다 관리비가 많이 나와서 11월부터 2

    with.heyyomi.com

     

     

    에너지바우처 잔액조회 신청자격 방법 총정리

    에너지바우처 잔액조회 신청자격 방법 총정리

    목차 다시 추운 겨울이 다가오고 있습니다. 올 겨울 역시 급격한 가스비 인상으로 인하여 가계에 어려움을 겪는 가구들이 늘어날 것으로 보입니다. 이에 정부는 에너지바우처를 발급하여 저소

    with.heyyomi.com

     

    반응형